2023. 11. 3. 18:31ㆍ기출문제 서브노트
낙하물 방지망의 설치목적
처음 안전을 배우는 사람들의 입장에서 낙하물 방지망과 추락방지망에 대한 구분이 어렵다.
하지만 말그대로 낙하물 방지망이란 상부에서 떨어지는 낙하물이나 비래로 인한 사고를
예방하기 위한 목적이다.
그리고 추락방지망이란 추락의 위험이 있는 장소에서 근로자가 작업을 하는 경우
이에대한 예방책의 하나로 추락방지망을 설치하는 것을 말한다.
예를 들어 낙하의 위험을 방지하기 위한 목적으로는
1. 낙하물 방지망
2. 자재정리정돈
3. 자재하역시 전용통로 사용
4. 낙하 위험구간의 통제
등의 예방대책이 있다.
낙하물방지망의 설치 방법
낙하물 방지망의 설치기준에는
1. 설치간격은 매 10m이내로 하여야 합니다.
2. 지면과의 각도는 20도 이상 30 이하를 유지해야합니다.
3. 내민길이는 2m이상이 되어야 하며
4. 낙하물방지망은 충분한 인장 강도를 가져야 합니다.
- 이를 위해 낙하물 방지망 안전인증 기준에 적합하여야 합니다.
낙하물 방지망의 설치방법
1. 낙하물 방지망을 설치하기 위한 위치를 사전조사 합니다.
- 낙하물의 위험이 있으며, 근로자의 이동이 발생하는 곳
2. 작업계획의 수립
- 투입 인원 및 설치 순서
- 근로자의 작업 방법
- 관리감독자의 선임
등의 내용을 포함합니다.
3. 근로자의 교육을 실시
- 지식 교육 , 기능교육, 태도교육을 실시
4. 자재의 반입 및 이동
- 안전한 방법을 통해 자재를 인양 및 이동합니다.
5. 낙하물 방지망의 설치
- 설치자의 개인보호구를 착용하고
- 관리감독자의 지휘 아래 실시하며
- 설치시 악천후의 영향이 있을시 작업을 중지합니다.
낙하물 방지망의 설치 해체시 추락사고의 예방대책
낙하물 방지망의 설치 해체자는 추락사고의 위험에 노출 이에대한
안전조치를 실시 하여야 합니다.
1. 낙하물 방지망의 설치 해체에 대한 작업계획을 수립하여야 합니다.
- 작업계획을 사전에 계획하고 이에따라 작업을 실시하여야 합니다.
2. 관리감독자를 지정 배치하여야 합니다.
- 관리감독자는 근로자의 작업방법의 준수 여부 및 개인보호구의 착용여부 등을
철저히 확인하여야 합니다.
3. 안전대 착용 및 안전대 걸이를 설치 하여야 합니다.
- 안전대를 착용함도 중요하지만 그에 맞는 안전대 걸이의 설치도 중요합니다.
4. 악천 후시 작업을 중지합니다.
- 강풍이나 강우가 발생하는 경우 작업을 제한합니다.
낙하물 방지망의 유지관리
낙하물 방지망의 유지관리는 정기적으로는 3개월에 1회 실시하여야 합니다.
하지만 낙하물 방지망이 손상이 되거나 낙하물에 의하여 충격이 가해진 경우에는
점검 및 교체를 진행해야합니다.
낙하물 방지망의 관리 기준
1. 낙하물 방지망은 3개월 1회 정기적 점검 실시
2. 낙하물 방지망 인근의 용접 및 컷팅 작업 후 손상여부 확인
3. 방지망에 적치 되어 있는 낙하물 즉시 제거
4. 리프트의 설치 자재의 반입의 목적으로 낙하물 방지망을 제거한 경우
작업 후 즉시 재 설치
'기출문제 서브노트'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작업종류별 작업계획서 포함사항은??? (0) | 2023.11.10 |
---|---|
4M (기본원인) 에 따른 유해위험요인 (0) | 2023.11.03 |
산업안전보건위원회 구성 및 심의 의결사항 (0) | 2023.11.01 |
안전관리계획서 작성대상 및 처리절차 (0) | 2023.10.06 |
안전보건관리규정의 작성대상 및 내용 (2) | 2023.10.06 |